조선시대 왕실 용어 정리
조선시대 왕실에서 쓰던 용어들이다 궁중에서는 거센소리와 된소리를 사용하지 않았다. 통기(방귀) , 비수(콧물), 이부(귀) 등 한자 용어를 많이 사용했다. 따로 궁중 전용으로 정해지지 않으면 한문식 표현으로 말하면 될 정도. 마마: 왕, 왕비, 대비, 상왕, 세자 세자빈에게만 붙일 수 있는 극존칭. 아내: 원래 마마와 동급의 존칭이었으나 이후 한 단계 낮은 격으로 사용되다 세자빈에게만 붙이는 존칭으로 격하되었다. 자가: 공주, 옹주, 정일품 빈에게 붙이는 존칭. 세자의 딸인 군주와 현주 역시 자가로 불렸을 확률이 높다. 마마님: 상궁에게 붙이는 존칭. 빈 이하의 후궁들도 이에 해당된다. 매화: 왕의 변. 매우라고도 한다. 붕어: 왕이 돌아가시다 성체, 옥체: 왕의 몸 용안, 옥안: 왕의 얼굴 어수: 왕의..